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F (식)
- Threads
- SetTitleMatchMode
- if(식)
- EnvDiv
- EnvMult
- 식의 설명
- ControlSend
- 함수
- StringGetPos
- IfInString
- API
- Menu
- SetKeyDelay
- SetControlDelay
- EnvSet
- Var:=식
- EnvAdd
- MouseClick
- 식
- IfWinExist
- Blocks
- ControlGetText
- 배열
- EnvSub
- SetEnv
- if
- SetMouseDelay
- autohotkey
- DetectHiddenWindows
- Today
- Total
목록2008/12 (80)
ㄴrㅎnㅂrㄹrㄱi
================================================================= 키 | 코드(숫자) ================================================================= ←(백스패이스) = 8 TAB = 9 ENTER = 13 SHIFT = 16 CTRL = 17 ALT = 18 PAUSEBREAK = 19 CAPSLOOK = 20 한/영 = 21 한자 = 25 ESC = 27 스패이스 = 32 PAGEUP = 33 PAGEDN = 34 END = 35 HOME =36 ←(중간) = 37 ↑(중간) = 38 →(중간) = 39 ↓(중간) = 40 INSERT = 45 DELETE = 46 0 = 48 1 = 49 2 =..
온라인 지도는 단독으로 존재하고 있던 기술과 커뮤니티를 묶는 것으로, 인터넷의 사용법을 근본적으로 바꿔 지도에 대한 기성 개념을 깨뜨리고 있다. 지도의 매쉬업은 이른바 사회공학의 상용화의 가능성을 어쩌면 가장 구체적으로 나타내 보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폴 레이드마처는 구글의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움직이는 코드를 해킹해, 이것을 외부 부동산 데이터와 조합하는 것으로 팔린 물건이 샌프란시스코 주변의 어느 지역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이용했다. 구글의 지도 서비스와 크레이그리스트가 제공하는 인기 부동산 정보를 조합한 이 ‘HousingMaps.com’이라고 하는 사이트가 뜨거운 인터넷 붐을 일으킨 시작이 될 줄은 아마 레이드마처 본인도 몰랐을 것이다. 컴퓨터 그래픽의 전문가인 레이드마처가 이..
롱테일(The Long Tail)이라는 용어가 많은 이들에 의해 회자되고 있다. 소위 “긴 꼬리 현상”이라고 불리는 이 용어는 유명 IT 잡지인 와이어드(Wired)의 편집장 크리스 앤더슨이 구글, 애플, 아마존, 이베이 등 사업적으로 성공을 이룬 유명 IT 기업들을 벤치마킹하는 과정에서 만든 단어다. 이 현상은 웹2.0이라는 트렌드와 일견 맞닿아있는 면이 많고 실제로 팀 오라일리가 웹2.0을 설명할 때 롱테일 현상을 언급한 바 있다. 온라인 서점인 아마존(Amazon), DVD 대여점인 넷플릭스(Netflix) 그리고 음악 판매 서비스인 애플 아이튠즈(itunes), 개인 간 벼룩 시장인 이베이(Ebay).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일까? 당연히 성공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에게..
[지디넷코리아]웹 1.0시대에 탄생해 웹 2.0시대에도 여전히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대기업은 웹의 힘을 사용해 집단 지능(Harnessing Collective Intelligence)을 이용한다는 웹 2.0의 원칙을 실천하고 있다. 집단 지능을 이용하는 웹2.0의 원칙 • 웹의 기반은 하이퍼 링크이다. 유저가 추가한 새로운 콘텐츠나 사이트는 그 외의 유저에게 발견되어 링크되는 것으로 웹의 구조에 포함된다. 뇌의 시냅스와 같이 이러한 연결은 반복과 자극에 의해서 강화되어 웹 유저 전체의 활동에 따르고, 유기적으로 성장해 간다. • 초기 인터넷 시대의 대표적인 성공 기업인 야후는 카탈로그 혹은 링크 디렉터리로서 등장했다. 야후는 몇천명 또는 몇백만명의 웹 유저가 작성한 웹페이지를 모았다. 그 후, 야후는..

[지디넷코리아]닷컴의 붕괴는 웹2.0 탄생의 필연? 2001년의 닷 컴 버블의 붕괴는 웹에 있어서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다.「웹은 과대하게 선전되고 있었다」라고 많은 사람이 결론을 내렸지만 버블과 그 후의 도태는 모든 기술 혁명에 공통되는 특징인 것처럼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도태는 신생 기술이 지금까지의 주역을 대신할 단계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전자는 붐을 쫓아갔지만 진짜 실력을 갖춘 기업이 성공을 거둔다. 이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도 이해가 될 것이다. 「웹2.0」이라는 개념은 오라일리(O'Reilly)와 미디어라이브 인터내셔널(MediaLive International)에 의한 브레인 스토밍(brainstorming)에서 부터 탄생했다. 웹의 개척자이며, 현재는 오라일리의 부사장을 맡고 있..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b446ae53-3759-40cf-80d5-cde4bbe07999&DisplayLang=ko 요즘 기사를 보면 국내 음악저작권 관련단체와 이동통신사간의 밀고 당기기가 점점 복잡해 지고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소리바다와 메모리형 MP3 플레이어로 대표되던 이용자의 음악소비행태가 점점 지능화되고, 다양해지는 휴대폰과 멀티미디어형 휴대기기로 확산되면서 벌써부터 이와 관련된 새 음악시장에 대한 효과를 유리하게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생각됩니다. 미국도 이와 관련된 사업자간의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습니다. 현재 400억달러 규모인 음악시장이 점차 온라인으로 이전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에 분야를 가리지 않고..